-
목차
국민연금 추납 제도는 실직이나 경력 단절 등으로 국민연금을 납부하지 못한 기간을 보완할 수 있는 제도로, 최소 10년 이상 가입 기간을 채우기 어려운 분들에게 매우 유리한 선택입니다.
1. 국민연금 추납 제도란?
국민연금 추납 제도란 과거에 국민연금을 내지 못한 기간이 있는 경우, 해당 기간에 대해 추가로 보험료를 납부할 수 있게 해주는 제도입니다.
이 제도는 납부 이력이 단절된 실직자, 휴직자, 자영업자, 경력 단절 여성 등에게 특히 유용하며, 향후 연금 수령액을 늘리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.
2. 추납이 가능한 대상과 조건
국민연금 추납 제도는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국민연금 가입자에게만 허용됩니다.
- 기존 가입 이력이 있는 자
- 보험료를 납부하지 않은 공백 기간이 있는 자
- 최근 6개월 이상 보험료를 성실하게 납부 중인 자
3. 추납 가능한 기간과 한도
2024년 기준으로 2008년 1월 이후의 미납 기간만 추납 가능하며, 최대 119개월까지 추납할 수 있습니다. 과거에는 자발적 실직자도 추납 대상이었지만, 2022년 1월 이후 비자발적 실직자만 허용됩니다.
4. 추납으로 얼마나 수령액이 늘어날까?
국민연금 추납 제도를 활용하면 연금 수령액이 얼마나 늘어나는지 아래 표로 확인해보세요.
추납 개월수 월 추가 수령액 10년간 예상 수령 총액 12개월 약 9,000원 약 1,080,000원 36개월 약 27,000원 약 3,240,000원 60개월 약 45,000원 약 5,400,000원
5. 국민연금 추납 신청 방법
추납 신청은 가까운 국민연금공단 지사를 방문하거나,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또는 ‘내 곁에 국민연금’ 앱을 통해 온라인으로도 가능합니다. 신청 후 추납 보험료 납부는 일시납 또는 분할 납부가 가능하며, 분할 납부는 최대 60개월까지 가능합니다.
보험료 부담 vs 연금 수령, 장기적 관점에서 판단해야
추납은 단기적으로 보험료 부담이 커질 수 있지만, 장기적으로 보면 연금 수령액이 늘어나기 때문에 경제적 여유와 기대수명을 고려해 신중히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또한 추납이 가능하다고 무조건 유리한 것은 아니므로 국민연금공단 상담센터(1355)를 통해 구체적인 시뮬레이션을 받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.
❓ 국민연금 추납 Q&A
Q1. 추납은 누구나 신청할 수 있나요?
A1. 일정한 납부 이력이 있는 자만 가능합니다. 신규 가입자는 신청 불가입니다.Q2. 추납 가능한 최대 기간은?
A2. 2008년 1월 이후 기간 기준 최대 119개월까지 가능합니다.Q3. 추납 후 연금 수령 시 언제부터 적용되나요?
A3. 정상 수급 개시 시점부터 가산된 금액이 함께 지급됩니다.Q4. 추납 보험료는 분할 납부도 가능한가요?
A4. 네, 최대 60개월까지 분할 납부가 가능합니다.Q5. 실직이나 폐업 시 추납 가능한가요?
A5. 2022년 이후는 비자발적 실직자만 추납이 가능합니다.'시니어 국민연금 가이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국민연금 납부예외 신청으로 실직자 연금 혜택 챙기기(+2025년 추납 방법까지 정리) (0) 2025.06.24 기초연금 변경 총정리|2025년 연금개편·수급조건 완벽 분석 (0) 2025.06.23 국민연금 연기하면 얼마나 더 받나요? 연기연금 가산율 정리 (0) 2025.06.22 조기노령연금 신청방법, 국민연금 수령 나이와 조기수령 조건까지 완벽 정리(+2025년 최신) (0) 2025.06.21 국민연금 수령나이, 65세부터 받는 거 아닙니다! 바뀐 수령 나이표 지금 확인하세요 (0) 2025.06.17